입력일 : 2007.10.17
관련정보<2007.11.10> :( 더블 포인트 )에 생성되는 다운로더 - <2회>
그레이웨어 무엇인지 아세여?
--> http://fantasy-actuality.tistory.com/23
보안제품은 보조수단이지 맹신은 금물..;;
--> http://fantasy-actuality.tistory.com/101
<아래 프로그램 삭제시 참고사항>
1>보안제품에서 진단하는 경우 잠시 실시간 감시를 해제후
--> 제어판 - 추가삭제에서 해당프로그램 삭제.
--> 보안제품에서 진단할경우 삭제에 방해를 받을 수 있습니다.
2> 삭제후 아래 제시된 설치폴더 정보를 참고하여 관련항목을 삭제.
3> 시작프로그램에 등록된 것중 의심스러운 것은 해제.
4> 정상적으로 삭제 되지 않을 경우
--> 사용중인 보안제품 회사에 문의후 도움 요청
--> 진단되는 안티스파웨어 제품으로 치료한다.
Windows doublepoint 에 의해 설치되는 프로그램 은 아래와 같다.
제어판 - 추가삭제 항목에서 아래 프로그램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1> Windows doublepoint <광고용 툴바>
--> 제작사에서 제공하는 삭제툴
링크 : http://shop.doublepoint.net/install/upfiles/uninstall.exe
2> kai for Windows Sys <광고용 툴바>
3> Windows KToolbar Toolbar <광고용 툴바>
--> 삭제 방법은 아래 링크 참조 < 12월 12 일 >
링크 : http://fantasy-actuality.tistory.com/203
--> 제작사에서 제공하는 설치 / 삭제파일 : http://korea.bonuspack.co.kr/install/install_ktbr.zip
--> 다운 받은 압축파일 내 ktbr_uninstall.exe 파일이 삭제정보 파일.. 하지만 뒤에 옵션을 붙여야 동작하므로 일단 생략..
=======================================================================================
1> Windows doublepoint 에 대한 설치정보
윈도우 익스플로어 추가기능관리에 아래항목 등록
{4EEDE6DE-001B-478C-9F0F-25AD687C4533} - c:\Program Files\doublepoint\dpup.dll
시작프로그램에 아래항목을 등록
[dpup] C:\Program Files\doublepoint\dpup.exe
설치폴더
=====================================================================================
2> kai for Windows Sys 에 대한 설치정보
윈도우 익스플로어 추가기능관리에 아래항목 등록
{66F9C463-1E5D-4652-87EA-758CED8961C0} - C:\WINDOWS\system32\kaiket.dll
시작프로그램에 아래항목을 등록
[kai] C:\WINDOWS\system32\kaistu.exe 2> kai for Windows Sys 업데이터
설치폴더
-->2> kai for Windows Sys 설치자
====================================================================================
3> Windows KToolbar Toolbar 에 대한 설치정보
윈도우 익스플로어 추가기능관리에 아래항목 등록
{AED44F5F-445C-48BB-B395-ACCF7A5ED424} - C:\PROGRA~1\ktbr\ktbr.dll
케이툴바 - {7AE0BB07-9920-46DF-AAC7-411F557A18A8} - C:\PROGRA~1\ktbr\ktbr.dll
시작프로그램에 아래항목을 등록
[ktbr] C:\Program Files\ktbr\ktbr_u.exe
설치폴더
--> 3> Windows KToolbar Toolbar 설치자
======================================================================================
<진단상황><2007.10.17>
1> 안철수 연구소
Ahnlab SpyZero 2.0 / V3 Internet Security Platinum / 빛자루의 안티스파이웨어 / 진단 - 치료 가능 <2007.10.23>
- Win-Adware/BHO.DoublePoint.243712 1> Windows doublepoint
- Win-Downloader/DoublePoint.627712 1> Windows doublepoint
- Win-Dropper/DoublePoint.205312 1> Windows doublepoint
- Win-Dropper/ToolBar.KToolBar.263168 3> Windows KToolbar Toolbar
- keyword.dat : Win-Downloader/Bpack.257536 3> Windows KToolbar Toolbar
- kaistu.exe : Win-Downloader/ImgClick.291840 2> kai for Windows Sys 업데이터
- unsetkai.exe : Win-Trojan/Agent.178688.J (V3) 2> kai for Windows Sys 삭제정보파일
2> 네이버 툴바 / 카스퍼스키 제품
- kaiket.dll : not-a-virus:AdWare.Win32.BHO.cn 2> kai for Windows Sys
- kaistu.exe : Trojan-Downloader.Win32.Agent.ean 2> kai for Windows Sys 업데이터
- kink.exe : Trojan-Downloader.Win32.Adload.me 2> kai for Windows Sys 설치자
- unsetkai.exe : Trojan-Downloader.Win32.Agent.dkt 2> kai for Windows Sys 삭제정보파일
3> 하우리 바이로봇
- Adware.Kai 2> kai for Windows Sys <모두진단>
- keyword.dat : Adware.BSpack.440320 3> Windows KToolbar Toolbar
- blist.dat : Adware.Doumi.To.251904 3> Windows KToolbar Toolbar
4> 바이러스 체이서
- kaiket.dll : Adware.Fastsearch 2> kai for Windows Sys
- kaistu.exe : Adware.Fastsearch 2> kai for Windows Sys 업데이터
==================================================================================
<참고 스샷>
<유포 증거><2007.10.17>
관련 자료 :
네이버 동영상 / 블로그 오인 페이지 - 아이비 협박관련 검색중 발견 <2007.11.07>
관련정보<2007.11.10> :( 더블 포인트 )에 생성되는 다운로더 - <2회>
그레이웨어 무엇인지 아세여?
--> http://fantasy-actuality.tistory.com/23
보안제품은 보조수단이지 맹신은 금물..;;
--> http://fantasy-actuality.tistory.com/101
<아래 프로그램 삭제시 참고사항>
1>보안제품에서 진단하는 경우 잠시 실시간 감시를 해제후
--> 제어판 - 추가삭제에서 해당프로그램 삭제.
--> 보안제품에서 진단할경우 삭제에 방해를 받을 수 있습니다.
2> 삭제후 아래 제시된 설치폴더 정보를 참고하여 관련항목을 삭제.
3> 시작프로그램에 등록된 것중 의심스러운 것은 해제.
4> 정상적으로 삭제 되지 않을 경우
--> 사용중인 보안제품 회사에 문의후 도움 요청
--> 진단되는 안티스파웨어 제품으로 치료한다.
Windows doublepoint 에 의해 설치되는 프로그램 은 아래와 같다.
제어판 - 추가삭제 항목에서 아래 프로그램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1> Windows doublepoint <광고용 툴바>
--> 제작사에서 제공하는 삭제툴
링크 : http://shop.doublepoint.net/install/upfiles/uninstall.exe
2> kai for Windows Sys <광고용 툴바>
3> Windows KToolbar Toolbar <광고용 툴바>
--> 삭제 방법은 아래 링크 참조 < 12월 12 일 >
링크 : http://fantasy-actuality.tistory.com/203
--> 제작사에서 제공하는 설치 / 삭제파일 : http://korea.bonuspack.co.kr/install/install_ktbr.zip
--> 다운 받은 압축파일 내 ktbr_uninstall.exe 파일이 삭제정보 파일.. 하지만 뒤에 옵션을 붙여야 동작하므로 일단 생략..
=======================================================================================
1> Windows doublepoint 에 대한 설치정보
윈도우 익스플로어 추가기능관리
시작프로그램에 아래항목을 등록
[dpup] C:\Program Files\doublepoint\dpup.exe
설치폴더
Name | Date | Size |
c:\Program Files\doublepoint | |||
dpup.dll | 2007-10-17 09:07.37 | 243,712 | |
dpup.exe | 2007-10-17 09:07.35 | 205,824 | |
e_list.dpp | 2007-10-17 09:07.39 | 472 | |
e_list2.dpp | 2007-10-17 09:07.39 | 0 | |
l_list.dpp | 2007-10-17 09:07.39 | 217 | |
ppconf.ini | 2007-10-17 09:07.38 | 22 | |
u_list.dpp | 2007-10-17 09:07.39 | 9,685 | |
u_list2.dpp | 2007-10-17 09:07.39 | 8,932 | |
uninstall.exe | 2007-10-17 09:07.38 | 284,160 |
c:\WINDOWS\system32 | |||
doublepoint_int.exe | 2007-10-17 09:07.33 | 205,312 |
c:\WINDOWS\Downloaded Program Files | ||
doublepoint Control | 2007-10-12 09:58.34 |
=====================================================================================
2> kai for Windows Sys 에 대한 설치정보
시작프로그램에 아래항목을 등록
[kai] C:\WINDOWS\system32\kaistu.exe 2> kai for Windows Sys 업데이터
설치폴더
Name | Date | Size |
c:\WINDOWS\system32 | |||
imgrs.exe | 2007-10-17 09:07.52 | 0 | |
kaiket.dll | 2007-08-04 14:28.50 | 196,608 | |
kaistu.exe | 2007-08-04 17:36.58 | 291,840 | |
keyword.dat | 2007-09-08 12:27.48 | 17,607 | |
unsetkai.exe | 2007-08-04 14:47.50 | 178,688 | |
kink.exe | 2007-10-17 09:07.42 | 257,536 |
====================================================================================
3> Windows KToolbar Toolbar 에 대한 설치정보
케이툴바 - {7AE0BB07-9920-46DF-AAC7-411F557A18A8} - C:\PROGRA~1\ktbr\ktbr.dll
시작프로그램에 아래항목을 등록
[ktbr] C:\Program Files\ktbr\ktbr_u.exe
설치폴더
Name | Date | Size |
c:\Program Files\ktbr | |||
basic.skn | 2006-05-20 19:25.46 | 25,764 | |
keyword_conv.dat | 2007-09-14 14:59.22 | 0 | |
ktbr.dll | 2007-07-31 14:16.16 | 312,320 | |
ktbr_u.exe | 2007-07-31 14:16.06 | 251,904 | |
ktbr_uninstall.exe | 2007-07-31 14:16.08 | 201,728 |
c:\WINDOWS | |||
blist.dat | 2007-02-10 15:44.58 | 1,260 |
c:\WINDOWS\system32 | |||
p6.exe | 2007-10-17 09:07.40 | 263,168 |
======================================================================================
<진단상황><2007.10.17>
1> 안철수 연구소
Ahnlab SpyZero 2.0 / V3 Internet Security Platinum / 빛자루의 안티스파이웨어 / 진단 - 치료 가능 <2007.10.23>
- Win-Adware/BHO.DoublePoint.243712 1> Windows doublepoint
- Win-Downloader/DoublePoint.627712 1> Windows doublepoint
- Win-Dropper/DoublePoint.205312 1> Windows doublepoint
- Win-Dropper/ToolBar.KToolBar.263168 3> Windows KToolbar Toolbar
- keyword.dat : Win-Downloader/Bpack.257536 3> Windows KToolbar Toolbar
- kaistu.exe : Win-Downloader/ImgClick.291840 2> kai for Windows Sys 업데이터
- unsetkai.exe : Win-Trojan/Agent.178688.J (V3) 2> kai for Windows Sys 삭제정보파일
2> 네이버 툴바 / 카스퍼스키 제품
- kaiket.dll : not-a-virus:AdWare.Win32.BHO.cn 2> kai for Windows Sys
- kaistu.exe : Trojan-Downloader.Win32.Agent.ean 2> kai for Windows Sys 업데이터
- kink.exe : Trojan-Downloader.Win32.Adload.me 2> kai for Windows Sys 설치자
- unsetkai.exe : Trojan-Downloader.Win32.Agent.dkt 2> kai for Windows Sys 삭제정보파일
3> 하우리 바이로봇
- Adware.Kai 2> kai for Windows Sys <모두진단>
- keyword.dat : Adware.BSpack.440320 3> Windows KToolbar Toolbar
- blist.dat : Adware.Doumi.To.251904 3> Windows KToolbar Toolbar
4> 바이러스 체이서
- kaiket.dll : Adware.Fastsearch 2> kai for Windows Sys
- kaistu.exe : Adware.Fastsearch 2> kai for Windows Sys 업데이터
==================================================================================
<참고 스샷>
<유포 증거><2007.10.17>
관련 자료 :
네이버 동영상 / 블로그 오인 페이지 - 아이비 협박관련 검색중 발견 <2007.11.07>
'Analysis > 유포 프로그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포되고 있는 Adware/Rogue - AnyCleaner 과 Trojan.Win32.BHO.ax (0) | 2007.10.24 |
---|---|
유포되고 있는 Adware/Rogue - plusclear (0) | 2007.10.24 |
Adware/Rogue - coolcode(쿨코드) 와 동반 설치되는 Adware 2종 (0) | 2007.10.21 |
Trojan-Downloader.Win32.Delf.cov 진단되는 파일외 시작줄에 등록되는 의심스러운 파일.. (0) | 2007.10.19 |
유포되고 있는 Adware/Rogue - NVirus (0) | 2007.1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