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카스퍼스키( kaspersky ) 온라인스캐너로 진단되던 wextract.exe
오진인가? 아니면 오작동인가 ...
카스퍼스키 온라인 스캐너로 컴퓨터에 안잡히는 다른 악성파일이 있는지 확인해보고자
돌려고 있는데 2개의 의심파일도 아닌 감염파일이 발견되어 확인하던중 ...
진단내역은 <2007.10.29>
C:\WINDOWS\system32\dllcache\wextract.exe 감염됨: Trojan.Win32.Agent.jp
C:\WINDOWS\system32\wextract.exe 감염됨: Trojan.Win32.Agent.jp
![사용자 삽입 이미지](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3/1_19_19_3_blog101712_attach_1_157.jpg?original)
그런데 wextract.exe 윈도우가 설치되면 존재하는 파일 아니던가?
단, C:\WINDOWS\system32\ / C:\WINDOWS\system32\dllcache 외 다른 폴더에
위치한다면 의심해보아야 한다.. 그러나, 속성정보를 보면 제작사 MS 라고 써있고..
뭐 정상파일 명을 가진 악성파일 일 수 있어..
바이러스 토탈 검사 사이트에 올려보았다..
결과 : http://www.virscan.org/report/13639560b19209a4d2bb6488d1e06058.html
파일 이름 : wextract.exe
파일 크기 : 61952 byte
파일 형식 : MS-DOS executable (EXE), OS/2 or MS Windows
MD5 : 13639560b19209a4d2bb6488d1e06058
SHA1 : ac7e61ea2332c809e354b38032f20dbb50393355
그런데 웃긴 것은 카스퍼스키 온라인 스캐너로 다시 검사해보니 이번엔 다시 잡히지
않았다라는 것..
별문제는 아닐지 모르지만... 진단명에 Win32.Agent 들어간 것들은 좀 확인해보고
치료해야 하지 않을 지 하는 생각이 든다..
그렇다고 Trojan.Win32.Agent.jp 진단된 것과 wextract.exe 을 진단한 것이 오진이라는
이야기는 아님을 밝힙니다. 이 것은 파일확인하기전까진 알 수 없기 때문...
Win32 = 동작환경
Agent = 보안제품마다 의미는 다르겠지만. 제가 발견된 샘플들중.. 해당 진단명이 들어간 것들은 대다수 악성코드의 정보 파일 / 악성 애드웨어의 구성요소 / 등이 이런 진단표기가 되는 경우가 많았다..
<참고>
카스퍼스키 온라인 검사페이지
http://www.kaspersky.co.kr/service_onlinescan.html
'Analysis > 주의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료동영상을 가장한 광고블로그...(스팸블로그) (4) | 2007.11.28 |
---|---|
도박사이트들의 유혹 - 스팸 블로그 - DNSFree 2.0.4.0 (1) | 2007.11.05 |
실행프로그램 오작동 - 원인이 특정 UCC 플레이어? (0) | 2007.10.19 |
보안제품은 보조수단이지 맹신은 금물..;; (1) | 2007.10.08 |
안티바이러스제품이 진단하였다고 무조건 삭제해야 하는가? (0) | 2007.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