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pkcmsvc 정보
엔프로덱트 사에서 제공하는 키보드 보안 서비스 프로세스이며,
윈도우 서비스 프로세스 항목에 등록하여 자신이 제거 / 변경 되지 않도록 동작
사이트 :
http://www.nprotect.com/
http://15660808.co.kr/
엔프로덱트 키보드 보안 삭제툴 : http://update.nprotect.net/cs/npkuninst.exe
엔프로덱트사 에선 별도의 삭제툴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홈페이지 상단 자료실 항목을 클릭후 들어가 해당 프로그램을 찾아 삭제툴 다운로드 가능
엔프로덱트 사에서 제공하는 키보드 보안 서비스 프로세스이며,
윈도우 서비스 프로세스 항목에 등록하여 자신이 제거 / 변경 되지 않도록 동작
사이트 :
http://www.nprotect.com/
http://15660808.co.kr/
엔프로덱트 키보드 보안 삭제툴 : http://update.nprotect.net/cs/npkuninst.exe
엔프로덱트사 에선 별도의 삭제툴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홈페이지 상단 자료실 항목을 클릭후 들어가 해당 프로그램을 찾아 삭제툴 다운로드 가능
최초 등록일 : 2008/10/27 14:10
<주의 및 참고>
여기서 말하고자 하는 것은 위에서 제공하는 삭제툴 / 제어판 - 추가삭제 에서
제거 했는데도 윈도우 서비스 항목에 남아서 윈도우 부팅시 마다 메모리 상주할 경우 제거 방법임. 단 , 엔프로덱트사에서 제공하는 삭제툴로 선행해보시고 안될 경우 하기를 권장.
강제로 윈도우 NT 서비스 등록 사항과 파일을 지우는 것이기 때문에 문제 발생소지가 있지만 저 같은 경우는 제거가 가능하였습니다 ..
<관련 글>
2007/12/17 - [유틸리티/보안 유틸리티] - HijackThis 2.0.2- 보안툴 1 회
2007/12/17 - [유틸리티/보안 유틸리티] - 아직도 설치된 프로그램 목록 손으로 적고 있습니까? * 추가삭제관련 팁 3개 *
1> 메모리에 상주 하는 npkcmsvc
2>설치된 폴더
- C:\WINDOWS\system32
3> 윈도우 NT 서비스 항목 등록 현황
- 제어판 - 관리도구 - 서비스 에서 확인 가능
4>npkcmsvc 삭제 해보기
- 해당 레지스터리 정보는 나중에 추가
- HijackThis 다운로드 참조 포스터 : http://fantasy-actuality.tistory.com/103
1. HijackThis 를 실행후 Open the Misc Tools section 을 누른다.
2. MISC TOOLS 클릭 후 하단 목록을 보시면 Delelte an NT service... 를 클릭
3>상기항목 (2>번 실행후 ) 나오는 메시지 창에 제거하고자 하는 프로세스 등록 하고 확인
- 위의 단계를 다하고 나면 실제 해당 파일이 존재한다면 삭제하겠냐고 영문 문구가 나오며 삭제시 윈도우가 부팅이 불가할수 있다는 경고를 준다.
- 존재하지 않을 경우엔 레지스터리 및 해당 파일이 폴더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안내문구 호출 함.
엔프로덱트 키보드보안 서비스 프로세스 삭제 에 대한 이야기 였지만..
사용하시는 보안제품이 악성툴 다 제거했는데도 서비스 프로세스에 남는 경우 사용해도 되겟네여 ... 하지만 그전에 사용하시는 보안사에 제거 방법을 문의후 하는 것이 안전하겠죠.
사용하시는 보안제품이 악성툴 다 제거했는데도 서비스 프로세스에 남는 경우 사용해도 되겟네여 ... 하지만 그전에 사용하시는 보안사에 제거 방법을 문의후 하는 것이 안전하겠죠.
'Computer & IT > 팁 과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신의 블로그 글을 검색엔진에 노출 시키는 방법은 ? (1) | 2009.05.07 |
---|---|
nLite 로 XP 통합시디 제작후 WIN32K 에러 문제로 설치되지 않을 때 (2) | 2008.11.07 |
5월 6일 정식 XP SP3 릴리스 설치기 ...layout.inf 에러 (1) | 2008.05.09 |
CCL(Creative Commons License)이란? (2) | 2007.12.26 |
검색로봇 (search robot) 노출 및 차단 (0) | 2007.1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