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성유포 제품-특정글로 유인후 첨부파일을 통해 유포-2007-08-29
특정글에 의해 특정블러그에 방문하면 필요한 프로그램인양 허위정보를 제공하여 첨부파일을 다운로드 하도록 유인하며.
해당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압축을 풀어보면 특정사이트 바로가기가 풀리며, 클릭하여 방문을 하면.. 아래의 사이트로 이동후
다수의 악성유포제품을 다운로드한다.
<참조링크><자동연장결제 피해시 대처 사항>
--> http://fantasy-actuality.tistory.com/15
<설치목록>
1> 바이러스 캅 (VIRUS COP) --> 악성유포 보안제품
2> 나노애드 --> 악성유포 보안제품
3> Windows IE Doumi / IE Doumi / IED2 uninstall --> <툴바>
4> searchspy / SearchPop / SearchURL / SideLink / SPack / 등 <목록 시점에 따라 상이> --> 툴바 및 악성유포 보안제품
5> AD-Sweeper --> 악성유포 보안제품
6> ClearPC --> 악성유포 보안제품
7> ComClean --> 악성유포 보안제품
8> 바이러스 스톱 --> 악성유포 보안제품
특정글에 의해 특정블러그에 방문하면 필요한 프로그램인양 허위정보를 제공하여 첨부파일을 다운로드 하도록 유인하며.
해당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압축을 풀어보면 특정사이트 바로가기가 풀리며, 클릭하여 방문을 하면.. 아래의 사이트로 이동후
다수의 악성유포제품을 다운로드한다.
<형식적인 동의/몰래설치 - 번들 설치에 대한 논란 부분>
1>특정페이지 방문시 ACTIVE X 를 통한 설치
--> 이것은 동의창이 아니므로 무단설치에 해당.
--> 단, 해당페이지가 원래 해당툴에 대한 설치페이지일 경우 제외된다.
--> 전혀 관계 없는 페이지에서의 설치.
2>업데이트 창을 통해 선택창만 제공하고 프로그램에 대한 별도 정보 및 별도의 동의를 구하지않을 경우로 클릭을 유도하는 것과 다를게 없습니다.
<일부보안사 해명>
--> 아래와 같이 특정글로 유인후 설치되지만 ACTIVE X 보안팝업이 뜨기 때문에 사용자 선택이 가능하다고 한다.
정말 웃기지 않는가?
--> ACTIVE X 보안팝업은 특정프로그램 또는 사용자의 XP 보안설정여부에 따라 팝업자체가 안뜨고 설치될 수 있다.
--> ACTIVE X가 문제되고 현제 악성배포의 경로가 되고 있는 이유가 보안설정에 따라 팝업자체가 안뜰 수있기 때문에 악용되고 있다
<참조링크><자동연장결제 피해시 대처 사항>
--> http://fantasy-actuality.tistory.com/15
<설치목록>
1> 바이러스 캅 (VIRUS COP) --> 악성유포 보안제품
2> 나노애드 --> 악성유포 보안제품
3> Windows IE Doumi / IE Doumi / IED2 uninstall --> <툴바>
4> searchspy / SearchPop / SearchURL / SideLink / SPack / 등 <목록 시점에 따라 상이> --> 툴바 및 악성유포 보안제품
5> AD-Sweeper --> 악성유포 보안제품
6> ClearPC --> 악성유포 보안제품
7> ComClean --> 악성유포 보안제품
8> 바이러스 스톱 --> 악성유포 보안제품
'Analysis > 유포지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악성유포제품 - 파일을 미끼로 유인후 설치되는 유형 - 2007.09.04-2 (0) | 2007.10.02 |
---|---|
악성유포제품 - 파일을 미끼로 유인후 설치되는 유형 - 2007.09.04-1 (0) | 2007.10.02 |
특정 동영상 뷰어로 위장하여 설치되는 사례 2007-08-28 (0) | 2007.10.02 |
악성유포 제품 - 글에 댓글을 달아 유도후 설치페이지 이동 사례 2007-0826 (0) | 2007.10.02 |
악성유포 제품 - 글에 유도되어 방문되는 홈에서 사례 2007-08-24 (0) | 2007.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