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성유포제품 - 파일을 미끼로 유인후 설치되는 유형 - 2007.09.04-2
1> Uware ==> 특정글로 유인후 설치되는 안티스파이웨어 제품 - 2종이상의 애드웨어를 설치함
<설치정보>
1> Uware ==> 특정글로 유인후 설치되는 안티스파이웨어 제품 - 2종이상의 애드웨어를 설치함
설치 URL : http://up1.you-ware.com/Cab/ActX/AKPartner/KPActX.cab
특정글로 유인후 설치되는 안티스파이웨어 제품 - 2종이상의 애드웨어를 설치함
<설치목록>
1> Uware --> 안티스파이웨어 제품 <특정글로 유인후 설치된다.>
2> 곰 특수문자 0.1 <프레앙 P2P / Radiostar / 패치 업(Patch up) / 등 홍보용 애드웨어>
3> Opti_Regi --> 특정애드웨어 설치자 <추가삭제에 등록안됨 .. 수동삭제하여야함>
<설치폴더>
c:\Program Files\Uware
c:\Program Files\Opti_Regi --> 특정애드웨어 설치자
c:\Program Files\곰 특수문자
c:\WINDOWS\system32 --> uninstalluware.exe
c:\WINDOWS\Downloaded Program Files --> KPActX Control
시작프로그램에 아래항목을 등록한다.
[gomcharacterUpdater] C:\Program Files\곰 특수문자\gomcharacterUpdater.exe AutoRun
[Opti_Regi] C:\Program Files\Opti_Regi\Opti_Regi.exe b --> 특정애드웨어 설치자
[Uware] C:\Program Files\Uware\uwareupdate.exe
<제작사정보>
- 사이트목록 :
http://nanumcenter.com/
http://you-ware.com
<유포유형>
1> 특정글로 유인후 개인홈 / 블로그 방문에 ActiveX 달아 설치한다.
2> 제작사 홈에선 설치파일로 배포중이다.
<유포사례>
1> 특정게임 립버전 다운로드라는 글로 유인후 설치를 한다. <2007.09.04>
http://fantasy-actuality.tistory.com/67
<진단상황>
1> Ahnlab SpyZero 2.0 / V3 Internet Security Platinum / 빛자루의 안티스파이웨어 / 진단 - 치료 가능
- Uware --> Win-Downloader/Rogue.Uware / Win-Adware/Rogue.Uware
- Opti_Regi --> Win-Adware/Rogue.OptiRegi
- 곰 특수문자 --> Win-Adware/GomChar.36864
2>window cashplus특정글로 유인후 설치되는 안티스파이웨어 제품 - 2종이상의 애드웨어를 설치함
<설치목록>
1> Uware --> 안티스파이웨어 제품 <특정글로 유인후 설치된다.>
2> 곰 특수문자 0.1 <프레앙 P2P / Radiostar / 패치 업(Patch up) / 등 홍보용 애드웨어>
3> Opti_Regi --> 특정애드웨어 설치자 <추가삭제에 등록안됨 .. 수동삭제하여야함>
<설치폴더>
c:\Program Files\Uware
c:\Program Files\Opti_Regi --> 특정애드웨어 설치자
c:\Program Files\곰 특수문자
c:\WINDOWS\system32 --> uninstalluware.exe
c:\WINDOWS\Downloaded Program Files --> KPActX Control
시작프로그램에 아래항목을 등록한다.
[gomcharacterUpdater] C:\Program Files\곰 특수문자\gomcharacterUpdater.exe AutoRun
[Opti_Regi] C:\Program Files\Opti_Regi\Opti_Regi.exe b --> 특정애드웨어 설치자
[Uware] C:\Program Files\Uware\uwareupdate.exe
<제작사정보>
- 사이트목록 :
http://nanumcenter.com/
http://you-ware.com
<유포유형>
1> 특정글로 유인후 개인홈 / 블로그 방문에 ActiveX 달아 설치한다.
2> 제작사 홈에선 설치파일로 배포중이다.
<유포사례>
1> 특정게임 립버전 다운로드라는 글로 유인후 설치를 한다. <2007.09.04>
http://fantasy-actuality.tistory.com/67
<진단상황>
1> Ahnlab SpyZero 2.0 / V3 Internet Security Platinum / 빛자루의 안티스파이웨어 / 진단 - 치료 가능
- Uware --> Win-Downloader/Rogue.Uware / Win-Adware/Rogue.Uware
- Opti_Regi --> Win-Adware/Rogue.OptiRegi
- 곰 특수문자 --> Win-Adware/GomChar.36864
<설치정보>
특정글에 유인후 설치되는 sakuracash 의 다른이름
<설치폴더>
c:\Program Files\cashplus
cashplus.dll
cashplus.exe
cashplusinst.dll
cashplusno.dat
cashplusok.dat
getinfo.dll
License.txt
uninstall.exe
c:\WINDOWS\Downloaded Program Files --> AtlCtrl Class
c:\WINDOWS\system32 --> cashplusinst.dll
윈도우 익스플로어 추가기능관리(BHO) 에 아래항목을 등록한다.
CashPlus - C:\Program Files\cashplus\cashplus.dll
(AtlCtrl Class) - http://www.cashplus.kr/cashback/download/cashplusinst.cab
시작프로그램에 아래항목을 등록한다.
[cashplus] "C:\Program Files\cashplus\cashplus.exe" /start
<사이트목록 / 제작사정보>
http://sakuracash.co.kr
http://www.cashbackplus.co.kr
http://www.cashplus.kr
<유포사례>
1> 특정게임 립버전 다운로드라는 글로 유인후 설치를 한다. <2007.09.04>
http://fantasy-actuality.tistory.com/67
2> 특정 공유사이트 방문시 Active X 설치된다.
--> OS에 따라 보안팝업으로 통보되거나 동의 없이 설치된다. <2007.09.04>
<설치폴더>
c:\Program Files\cashplus
cashplus.dll
cashplus.exe
cashplusinst.dll
cashplusno.dat
cashplusok.dat
getinfo.dll
License.txt
uninstall.exe
c:\WINDOWS\Downloaded Program Files --> AtlCtrl Class
c:\WINDOWS\system32 --> cashplusinst.dll
윈도우 익스플로어 추가기능관리(BHO) 에 아래항목을 등록한다.
CashPlus - C:\Program Files\cashplus\cashplus.dll
(AtlCtrl Class) - http://www.cashplus.kr/cashback/download/cashplusinst.cab
시작프로그램에 아래항목을 등록한다.
[cashplus] "C:\Program Files\cashplus\cashplus.exe" /start
<사이트목록 / 제작사정보>
http://sakuracash.co.kr
http://www.cashbackplus.co.kr
http://www.cashplus.kr
<유포사례>
1> 특정게임 립버전 다운로드라는 글로 유인후 설치를 한다. <2007.09.04>
http://fantasy-actuality.tistory.com/67
2> 특정 공유사이트 방문시 Active X 설치된다.
--> OS에 따라 보안팝업으로 통보되거나 동의 없이 설치된다. <2007.09.04>
'Analysis > 유포지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악성유포제품 - 특정글로 방문을 유도후 설치되는 사례 - 2007.09.05-1 (0) | 2007.10.02 |
---|---|
악성유포제품 - 특정글로 방문을 유도후 설치되는 사례 - 2007.09.05-2 (0) | 2007.10.02 |
악성유포제품 - 파일을 미끼로 유인후 설치되는 유형 - 2007.09.04-1 (0) | 2007.10.02 |
악성유포 제품-특정글로 유인후 첨부파일을 통해 유포-2007-08-29 (0) | 2007.10.02 |
특정 동영상 뷰어로 위장하여 설치되는 사례 2007-08-28 (0) | 2007.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