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성유포제품 - 파일을 미끼로 유인후 설치되는 유형 - 2007.09.04-1
특정글에 의해 특정블러그 / 까페 에 방문하면 특정 프로그램을 미끼로 특정페이지로 유도한다.
해당 다운로드 페이지로 이동하면, 다수의 악성유포제품 과 해당 웹폴더에서 제공하는 웹프로그램이 같이 설치요구된다.
<참조링크><자동연장결제 피해시 대처 사항>
--> http://fantasy-actuality.tistory.com/15
<설치목록>< 일부 설치정보링크 : http://fantasy-actuality.tistory.com/68 >
1> Uware < 안티스파이웨어 제품으로 특정 애드웨어를 동의 없이 설치한다.>
--> 곰 특수문자 0.1 < 특정애드웨어 홍보 프로그램 : 패치 업 / 프레앙 / 등 을 홍보 한다.>
: C:\Program Files\곰 특수문자 에 설치되며, 곰 특수문자 설치자를 언스톨해도 남긴다.
: 시작프로그램에 [gomcharacterUpdater] C:\Program Files\곰 특수문자\gomcharacterUpdater.exe AutoRun 등록
--> Opti_Regi < 특정애드웨어 설치 또는 방문자 >
: C:\Program Files\Opti_Regi 에 자신을 설치되며 시작프로그램에 등록된다.
2> Windows cashplus / cashplus
< 특정글에 유인후 설치되는 sakuracash 의 다른이름>
3> DoctorCode
특정글에 의해 특정블러그 / 까페 에 방문하면 특정 프로그램을 미끼로 특정페이지로 유도한다.
해당 다운로드 페이지로 이동하면, 다수의 악성유포제품 과 해당 웹폴더에서 제공하는 웹프로그램이 같이 설치요구된다.
<형식적인 동의/몰래설치 - 번들 설치에 대한 논란 부분>
1>특정페이지 방문시 ACTIVE X 를 통한 설치
--> 이것은 동의창이 아니므로 무단설치에 해당.
--> 단, 해당페이지가 원래 해당툴에 대한 설치페이지일 경우 제외된다.
--> 전혀 관계 없는 페이지에서의 설치.
2>업데이트 창을 통해 선택창만 제공하고 프로그램에 대한 별도 정보 및 별도의 동의를 구하지않을 경우로 클릭을 유도하는 것과 다를게 없습니다.
<일부보안사 해명>
--> 아래와 같이 특정글로 유인후 설치되지만 ACTIVE X 보안팝업이 뜨기 때문에 사용자 선택이 가능하다고 한다.
정말 웃기지 않는가?
--> ACTIVE X 보안팝업은 특정프로그램 또는 사용자의 XP 보안설정여부에 따라 팝업자체가 안뜨고 설치될 수 있다.
--> ACTIVE X가 문제되고 현제 악성배포의 경로가 되고 있는 이유가 보안설정에 따라 팝업자체가 안뜰 수있기 때문에 악용되고 있다
<참조링크><자동연장결제 피해시 대처 사항>
--> http://fantasy-actuality.tistory.com/15
<설치목록>< 일부 설치정보링크 : http://fantasy-actuality.tistory.com/68 >
1> Uware < 안티스파이웨어 제품으로 특정 애드웨어를 동의 없이 설치한다.>
--> 곰 특수문자 0.1 < 특정애드웨어 홍보 프로그램 : 패치 업 / 프레앙 / 등 을 홍보 한다.>
: C:\Program Files\곰 특수문자 에 설치되며, 곰 특수문자 설치자를 언스톨해도 남긴다.
: 시작프로그램에 [gomcharacterUpdater] C:\Program Files\곰 특수문자\gomcharacterUpdater.exe AutoRun 등록
--> Opti_Regi < 특정애드웨어 설치 또는 방문자 >
: C:\Program Files\Opti_Regi 에 자신을 설치되며 시작프로그램에 등록된다.
2> Windows cashplus / cashplus
< 특정글에 유인후 설치되는 sakuracash 의 다른이름>
3> DoctorCode
'Analysis > 유포지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악성유포제품 - 특정글로 방문을 유도후 설치되는 사례 - 2007.09.05-2 (0) | 2007.10.02 |
---|---|
악성유포제품 - 파일을 미끼로 유인후 설치되는 유형 - 2007.09.04-2 (0) | 2007.10.02 |
악성유포 제품-특정글로 유인후 첨부파일을 통해 유포-2007-08-29 (0) | 2007.10.02 |
특정 동영상 뷰어로 위장하여 설치되는 사례 2007-08-28 (0) | 2007.10.02 |
악성유포 제품 - 글에 댓글을 달아 유도후 설치페이지 이동 사례 2007-0826 (0) | 2007.10.02 |